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론병(Crohn's disease), 어떻게 먹어야 해요?

by 임상영양사kitty 2023. 7. 19.
반응형

크론병이 뭐예요?

크론병은 우리의 입에서부터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염증이 발생하는 종류의 염증성장질환입니다. 그중에서도 오른쪽 대장과 소장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변이며, 염증이 있는 부위가 연속적이지 않고 군데군데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장의 점막층뿐만 아니라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등 장벽의 전  층을 침범하는 염증반응이 특징입니다.

크론병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식욕감퇴, 미열 등이 대표적입니다.

증상의 종류와 정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급속하게 진전되기도 하는 것이 특징이기도 합니다.

크론병은 정확한 발생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최근 들어 서구화된 식습관과 기름진 식품의 과다 섭취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크론병의 식사요법

크론병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권장되는 식사요법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환자마다 증상의 정도,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식사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자 스스로의 식사와 증상 사이의 관계를 잘 살펴보아야 하고, 메모에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메모해 놓으면, 자신에게 잘 맞는 음식과 잘 맞지 않는 음식을 파악할 수 있게 되지요. 이때 불편한 증상이 있었던 식품이라도, 나중에 다시 한번 섭취하면서 증상이 나빠지는 것을 확인해 본 후 피할 음식을 조절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섬유소 함량이 적은 식품을 섭취하면서 대변의 양을 줄여 장의 휴식을 줍니다.
2. 지방 함량이 높은 기름진 부분의 육류(비계, 닭 껍질 등) 또는 힘줄 부위의 질긴 부위를 제한합니다.

3. 식사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4. 설사가 지속될 경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를 예방합니다.
5. 지방변이 있는 경우 고지방 식품을 제한합니다.
6. 유당불내성(유제품 섭취 시 설사 또는 복부 불편감이 나타나는 현상이 있는 경우) 우유나 유제품 섭취를 제한합니다.

7. 배변 횟수와 배변 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잔사와 섬유소를 제한하지만 증상이 가라앉으며 빠른 시일 내로 일반식으로 이행한다.

8. 비타민B12, 엽산,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손실이 증가하므로 비타민 및 무기질의 보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일 때 유용한 저섬유소식

저 섬유소 식을 하기 위해서는 정제된 곡류제품을 이용하고 과일류, 채소류는 껍질과 씨 부위를 제거하여 사용하며 견과류, 콩류의 이용을 피하고 1인 1회 분량에 식이섬유소가 0.5g 이상 포함된 식품은 모두 제한하기도 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는 1인 1회 분량에 식이섬유소 0.5~1g 포함된 식품의 섭취를 허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이러한 식품들은 주의 깊게 도입하도록 합니다. 또한 저섬유소식을 하는 환자들은 음식물을 여러 번 잘 씹고 천천히 먹도록 하며, 과량의 음식물 섭취를 피하는 것이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 100g당 섬유소 함량이 1g 미만인 과일과 채소류 (100g당이므로 1회 분량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 채소류 : 오이, 알로에
- 과일류 : 토마토, 귤, 백도(통조림), 수박, 오렌지, 오렌지주스, 포도

크론병에서의 권장 식품

쌀밥, 결체조직이 적은 연한 부분의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살코기, 두부, 생선, 계란, 애호박, 가지, 무 등 부드러운 야채, 과일(씨, 껍질 제거), 영양 보충 음료 등

크론병에서의 주의 식품 

잡곡류, 튀긴 잡곡류(팝콘 등), 식이섬유소가 많은 음식(콩, 팥, 고구마, 고사리, 도라지 등), 결체조직이 강하고 질긴 육류, 조개류, 비지류, 도라지, 고사리, 미나리 등 질긴 야채, 말린 과일, 견과류,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