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뇨병 환자 식사의 기본 원칙
당뇨병환자를 위한 특별한 식사방법은 따로 없습니다. 모든 사람들을 위한 “건강식”이 바로 당뇨병환자를 위한 식사입니다.
식사요법의 목표는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적정 체중과 혈당을 유지하고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낮추며,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절한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는다.
적절한 열량으로 구성된 규칙적인 식사는 결식으로 인한 폭식을 예방하고 간식섭취를 줄여 혈당과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
과체중 또는 비만한 환자는 5% 이상의 체중감량을 목표로 식사량을 줄이도록 한다.
체중 감량을 목표로 총열량 섭취를 줄이고 탄수화물 섭취 비율을 낮추는 것은 혈당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환자의 개별화한 목표와 선호에 따라 다양한 식사패턴(지중해식, 채식, 저지방식, DASH, 저탄수화물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저혈당 우려가 있는 약물(인슐린 또는 인슐린분비촉진제)을 사용 중인 환자는 의사/임상영양사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탄수화물은 식이섬유가 풍부한 통곡물, 채소, 콩류, 과일, 생과일, 유제품을 섭취하고 첨가당 섭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당 음료 섭취를 줄이도록 합니다.
첨가당이 포함된 음료류의 섭취를 최소화하고 정제된 탄수화물을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으로 대체하면 혈당 개선과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포화지방산의 섭취는 줄이고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한다.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단일불포화지방산과 다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으로 대체합니다.
나트륨의 섭취를 최대한 줄인다.
과다한 나트륨의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가급적 싱겁게 먹도록 합니다.
알코올의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알코올은 영양소는 없으면서, 열량을 많이 내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부 환자들은 저혈당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참고: 2023년 당뇨병 진료지침
반응형